본문 바로가기

기타 정보

hs code 조회 방법 최신 완벽정리

안녕하세요.

오늘 같이 날씨좋은 날만 계속 되기를

오늘의 이야기를 시작해 볼까합니다.


다들 점심들은 맛있게 드셨죠?

날이 좋아서 그런지 몰라도 평소보다

배는 더 먹게 되더라고요, 곧 있으면

덕분에 배로 졸리게 되겠죠?


아무튼 날씨는 정말 끝내줍니다.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알아볼 정보는

바로 hs code 조회 방법인데요.


아주 간단하고 쉽고 빠르게

확인이 가능한 방법을 함께 알아볼 

예정이니 잘 보고 따라하시면 되겠습니다.



hs code를 조회하기 앞서서

이게 무엇이냐 하는 분들은 없겠죠?


1988년 국제협약을 통해 채택된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에 따라 무역거래시

분류 및 인식을 쉽게하기 위한 품목 코드입니다.









hs 코드를 조회하기 위해

사이트 접속이 필요합니다.


포털사이트에서 [hs code] 입력

사이트에 접속합시다.








세계 hs 정보시스템이라는 사이트

확인이 가능하실텐데요.


이곳에서는 오늘 알아볼 코드 조회

외에도 다양한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우리는 [관세율표]를 클릭합시다.








위와 같은 화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여러가지 품목에 따른 분류들을 

볼수 있는데요, 제가 한번 예로 확인해 보죠.


1-1류 살아있는 동물을 눌러보겠습니다.








품명들이 나옵니다.

대한민국 2016년의 품명들이죠.


여러가지 동물들이 나오는데요.

저는 첫번째 말.당나귀.노새와버새를

눌러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데 버새라는 것이 무엇이죠?






말과 당나귀의 교배로 인해

만들어진 종간 잡종이라고 하네요.








다시 주제로 넘어와서

품목을 확인 후 눌러주시면

위와 같이 hs 코드 확인이 가능하죠.








일일이 이렇게 찾아가면서

hs code 조회를 하는 것은 참

번거로운 일입니다.


그래서 우측 상단의 검색란을 통해서

아주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저는 [축구공]을 검색해 보겠습니다.








검색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얼마되지 않아 보시는 것과 같이

hs code 조회가 가능합니다.


이게 훨씬 쉬운 방법이죠?


이제 원하는 품명 분류를 검색해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hs code 조회 방법을

같이 알아보았습니다. 


그다지 오랜 시간이 필요없이도

쉽게 조회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 영상은 꽤 많은 분들이 잘 모르는

hs 코드와 hsk 코드의 차이점에 대한

영상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